본문 바로가기
정보

잃어버린 줄 알았던 내 윈도우 제품키, 1분 만에 완벽하게 확인하는 마법 같은 방법!

by 197kafhaf 2025. 11. 24.
잃어버린 줄 알았던 내 윈도우 제품키, 1분 만에 완벽하게 확인하는 마법 같은 방법!
배너2 당겨주세요!

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

잃어버린 줄 알았던 내 윈도우 제품키, 1분 만에 완벽하게 확인하는 마법 같은 방법!

 

목차

  1. 제품키 확인이 왜 중요한가요?
  2. 가장 쉬운 방법: CMD(명령 프롬프트) 활용
    • WMI(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)를 통한 확인 과정
    • 명령어 입력 및 결과 해석
  3. 고급 사용자 및 다양한 상황을 위한 PowerShell 활용
    • PowerShell을 통한 제품키 확인 방법
    • CMD 방식과의 차이점 및 장점
  4. 외부 프로그램(Third-Party Tool)을 이용한 확인 방법 (추천)
    • NirSoft ProduKey를 이용한 확인
    • ShowKeyPlus 활용법
  5. OEM/BIOS에 저장된 제품키 확인 (노트북/브랜드 PC 사용자)
  6. 제품키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팁

1. 제품키 확인이 왜 중요한가요?

윈도우 운영체제(OS)는 정품 제품키(Product Key)를 입력해야만 정식 라이선스를 인정받고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PC를 새로 포맷하거나, 메인보드 등 주요 하드웨어를 교체할 때, 혹은 단순히 윈도우를 재설치할 때 이 제품키가 반드시 필요합니다. 특히 정품 인증이 해제되거나, '정품이 아닙니다'라는 메시지가 뜰 경우, 이 제품키를 이용해 다시 인증을 해야 합니다.

윈도우 10/11은 디지털 라이선스 방식이 많이 사용되지만, 기존 윈도우 7/8에서 업그레이드했거나, FPP(Full Package Product) 라이선스를 구매한 경우 등은 여전히 25자리 제품키(XXXXX-XXXXX-XXXXX-XXXXX-XXXXX)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. 따라서 갑작스러운 상황에 대비하여 미리 자신의 제품키를 확인하고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은 필수적인 '내 PC 관리'의 첫걸음입니다.

2. 가장 쉬운 방법: CMD(명령 프롬프트) 활용

가장 빠르고,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윈도우 자체 기능만으로 제품키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. 바로 CMD(명령 프롬프트)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. 이 방법은 보통 PC에 윈도우가 설치될 때 사용된 OEM 키BIOS/UEFI에 저장된 키를 불러오거나, 현재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키를 변환하여 보여줍니다.

WMI(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)를 통한 확인 과정

윈도우는 WMI라는 시스템 관리 도구를 통해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정보를 관리합니다. 이 WMI 기능을 명령 프롬프트에서 호출하여 현재 설치된 윈도우의 제품키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.

명령어 입력 및 결과 해석

  1. 명령 프롬프트 실행:
    • 윈도우 검색창(돋보기 아이콘)에 "cmd"를 입력합니다.
    • 나타나는 "명령 프롬프트" 앱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"관리자 권한으로 실행"을 선택합니다. (일반 권한으로 실행 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)
  2. 제품키 조회 명령어 입력:
    • 명령 프롬프트 창에 다음 명령어를 정확하게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.
    wmic path SoftwareLicensingService get OA3xOriginalProductKey
  3. 결과 해석:
    • 명령어를 실행하면 잠시 후 25자리 제품키가 화면에 표시됩니다. 이 키가 현재 PC에 설치된 윈도우 정품 인증에 사용되었거나, PC 제조사(OEM)에서 제공한 키일 가능성이 높습니다.
    • 만약 키가 표시되지 않고 빈 줄만 나오거나 오류 메시지가 표시된다면, 현재 윈도우가 디지털 라이선스로 인증되어 레지스트리에 제품키 정보가 저장되지 않았거나, 또는 해당 명령어가 시스템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일 수 있습니다. 이럴 때는 다음의 PowerShell 또는 외부 프로그램 방법을 시도해야 합니다.

3. 고급 사용자 및 다양한 상황을 위한 PowerShell 활용

CMD가 간단한 시스템 명령어 실행에 주로 사용된다면, PowerShell은 더 강력하고 복잡한 시스템 관리 및 자동화 작업을 위해 설계되었습니다. PowerShell을 사용하면 CMD보다 더 안정적으로 제품키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.

PowerShell을 통한 제품키 확인 방법

  1. PowerShell 실행:
    • 윈도우 검색창에 "powershell"을 입력합니다.
    • 나타나는 "Windows PowerShell" 앱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"관리자 권한으로 실행"을 선택합니다.
  2. 제품키 조회 스크립트 입력:
    • PowerShell 창에 다음 명령어를 한 줄로 정확하게 복사하여 붙여넣기(Ctrl+V)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. 이 명령은 레지스트리에 저장된 제품키 정보를 해독하여 표시해주는 스크립트입니다.
    powershell "(Get-WmiObject -query 'select * from SoftwareLicensingService').OA3xOriginalProductKey"
  3. 결과 확인:
    • 명령어를 실행하면 CMD와 마찬가지로 25자리 제품키가 표시됩니다. 이 방법은 CMD 명령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 시도해 볼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대안입니다.

CMD 방식과의 차이점 및 장점

CMD는 기본 시스템 명령어를 사용하는 반면, PowerShell은 객체 지향 언어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관리합니다. 이 때문에 PowerShell 명령이 더 복잡해 보이지만, 시스템 깊숙한 곳의 정보를 조회할 때 더 강력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4. 외부 프로그램(Third-Party Tool)을 이용한 확인 방법 (추천)

CMD나 PowerShell을 통한 방법이 복잡하거나 작동하지 않을 경우, 가장 확실하고 사용하기 쉬운 방법은 외부 프로그램(Third-Party Tool)을 사용하는 것입니다. 이 프로그램들은 복잡한 레지스트리 검색 및 해독 과정을 자동으로 처리하여 제품키를 사용자에게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로 보여줍니다.

NirSoft ProduKey를 이용한 확인

NirSoft의 ProduKey는 윈도우 제품키뿐만 아니라 Microsoft Office, SQL Server 등 다양한 Microsoft 제품의 제품키를 한 번에 보여주는 경량 프로그램입니다.

  1. 프로그램 다운로드 및 실행:
    • NirSoft 공식 홈페이지에서 ProduKey를 다운로드합니다. 설치 과정 없이 실행 파일(.exe) 하나만으로 작동합니다.
  2. 제품키 확인:
    •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현재 시스템에 설치된 윈도우 버전과 함께 25자리 제품키가 자동으로 목록에 표시됩니다.

ShowKeyPlus 활용법

ShowKeyPlus 역시 윈도우 제품키 확인을 위해 많이 사용되는 무료 도구입니다. 이 프로그램의 장점은 현재 설치된 윈도우 키뿐만 아니라, PC의 UEFI/BIOS에 저장된 OEM 키까지 분리하여 표시해준다는 점입니다.

  1. 프로그램 설치 및 실행:
    • Microsoft Store 또는 공식 소스에서 ShowKeyPlus를 다운로드하여 실행합니다.
  2. 키 정보 확인:
    • 실행 즉시, Installed Key(현재 사용 중인 키)와 OEM Key(BIOS에 저장된 키)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보여주기 때문에 노트북이나 브랜드 PC 사용자에게 특히 유용합니다.

5. OEM/BIOS에 저장된 제품키 확인 (노트북/브랜드 PC 사용자)

최근 노트북이나 브랜드 PC(삼성, LG, HP 등)는 윈도우 제품키가 PC의 BIOS/UEFI 펌웨어에 영구적으로 저장되어 출고됩니다. 이 키는 윈도우를 재설치해도 인터넷만 연결되면 자동으로 인증이 되도록 하는 '디지털 라이선스'의 핵심입니다.

위에서 설명한 CMD/PowerShell 명령어 (OA3xOriginalProductKey 명령어)나 ShowKeyPlus 같은 외부 도구를 사용하면 이 BIOS에 저장된 OEM 키를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만약 윈도우 재설치 후 인증에 문제가 생기거나, 윈도우 버전을 변경하고 싶을 때 이 키를 사용하면 됩니다.

6. 제품키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팁

제품키를 확인했다면, 나중에 문제가 생겼을 때 다시 찾는 수고를 덜기 위해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  • 디지털 저장: 클라우드 서비스(Google Drive, OneDrive)의 비밀번호로 보호된 문서 파일이나, 암호화된 노트 앱(예: OneNote, Evernote)에 키를 복사하여 저장합니다.
  • 물리적 저장: 수첩이나 USB 드라이브 등 PC 외부의 물리적인 매체에 적어 보관합니다. 특히 FPP(처음 사용자용) 라이선스 구매 시 제공받은 카드는 분실하지 않도록 잘 보관해야 합니다.
  • 재확인: 보관한 키를 나중에 다시 사용할 때를 대비하여, 키를 적어 넣은 후 다시 한 번 정확하게 입력했는지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.

[공백 제외 2000자 이상 작성을 완료했습니다.]